꼬물꼬물
[32강] 스프링 기본파싱전략와 json 통신 본문
1. Get 요청
주소에 데이터를 담아 보낸다.
http://localhost:8000/blog/user?id=3&username=싸피
특징: body로 데이터를 담아 보내지 않는다.
key=value 형태
queryString
2. Post, Put, Delete 요청
데이터를 변경하는 요청은 데이터를 담아보내야 할 것이 많다.
- username, password, email, address, gender 등..
post는 form 태그 method="Post"
- form 태그 -> get요청, post요청. key=value 형태
- put, delete 요청은 자바스크립트로 요청해야 한다.
통일성을 위해 => 자바스크립트로 ajax 요청 + 데이터는 JSON으로 통일한다.
3. 오브젝트로 데이터 받기
post 방식의 key=value (x-www-form-urlencoded)
변수이름이 같아야하고 setter가 존재해야한다.
setter가 존재하지 않으면 오류
없는 변수를 사용하면 오류는 나지않고 스프링이 알아서 setter를 호출하지 않는다.
5. key=value가 아닌 데이터의 파싱
@RequestBody라는 어노테이션이 필요하다. MessageConverter 클래스를 구현한 Jackson 라이브러리가 json 데이터를 자바 오브젝트로 파싱해준다.
6. key=value 데이터가 아니라 form 태그로 json 데이터 요청 방법
data: JSON.stringify(user),를 이용한다.
contentType: 'application/json; charset=utf-8',
..
'코딩 > Blo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30강] Delete / Exception 처리하기 (0) | 2022.01.24 |
---|---|
[29강] 영속성 컨텍스트와 더티 체킹 / Update (0) | 2022.01.24 |
[27강] select / update (0) | 2022.01.24 |
[26강] get/select (0) | 2022.01.21 |
[21~3 강] 연관관계 주인 (0) | 2022.01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