꼬물꼬물

[17강] Yaml/Yml 설정 본문

코딩/Blog

[17강] Yaml/Yml 설정

멩주 2022. 1. 20. 01:13

yaml 파일이란: https://www.inflearn.com/questions/16184

 

yaml파일 이란 무엇인가요 - 인프런 | 질문 & 답변

안녕하세요 강사님 너무 질문이 많아서 죄송합니다. yaml파일 이라는 단어를 요 근래 많이 듣고 있는데 정확인 무슨 파일인가요 검색해 보지도 않고 무조건 질문을 드리는것 같아서 죄송하지만

www.inflearn.com

apiVersion = key, v1 = value

1. key와 value 사이에는 띄어쓰기가 무조건 있어야 한다

  key: value

2. 들여쓰기의 규칙은 스페이스 2칸

  metadata:

    name: hello-pod

 

web.xml

root-context: DB 설정. 한번만 new 되는 아이들(싱글톤).

servlet-context: 지속적으로 new가 필요한 아이들.

위의 3개 모두 application.yml에 들어가 있다.

프로젝트 진입 직전에 해당 yml 파일을 읽고 시작한다.

 

server:
  port: 8000
  servlet:
    context-path: /blog
    encoding:
      charset: UTF-8
      enabled: true
      force: true

-> http://localhost:8000/blog로 root가 바뀐다.

원래 http://localhost:8080/

 

@Controller는 파일을 리턴한다.

src/main/resources/static 뒤에 리턴하는 String 값으로 파일을 찾는다.

@RestController는 String 자체를 리턴한다.

 

Spring Boot는 기본적으로 jsp를 지원하지 않는다.

pom.xml

기본적으로 접근하는 static 아래는 정적 파일을 놓는 곳으로 js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WEB-INF로 이동해야 한다.

application.yml

 

'코딩 > Blo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21~3 강] 연관관계 주인  (0) 2022.01.20
[20강] Board, Reply 테이블 생성  (0) 2022.01.20
[18강] User 테이블 생성  (0) 2022.01.20
[16강] Lombok  (0) 2022.01.20
[13강] http 요청  (0) 2022.01.19